제 8 장 낚싯대 편성 제 8 장 낚싯대 편성 제 1 절 대물낚시 자리준비 o 편하게 기다릴 수 있는 준비를 하라. 대물낚시는 기다림과 집중력의 낚시다. 적어도 1박 2일을 한 자리에 앉아서 꼼짝 않고 찌를 바라보고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언제 올지 모르는 단 한 번의 입질을 놓치지 말아야 하는 고도의 집중력이 .. 붕어 대물낚시 책 원고(원본) 2020.02.20
제 9 장 채비투척 요령 제 9 장 채비투척요령 제 1 절 앞치기 요령 대물낚시에서 채비투척의 기본은 앞치기 기법이다. 생자리의 협소하고 불편한 상황에서도 이것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어야 정숙을 유지하면서 요망하는 지점에 정확하게 채비를 날려 보내 찌를 세울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앞장.. 붕어 대물낚시 책 원고(원본) 2020.02.20
제 10 장 채비정렬과 안착 제 10 장 채비정렬과 안착 제 1 절 채비의 수중 안착 과정 ㅇ 봉돌이 먼저? 아니면 바늘이 먼저? 우리가 낚시터에서 채비를 물 표면에 던지면 채비는 서서히 가라앉으면서 찌가 제자리를 잡고 일어선다. 이때 채비에서 보이는 모양대로 바늘이 먼저 내려가서 바닥에 닿아 자리를 잡는다고 .. 붕어 대물낚시 책 원고(원본) 2020.02.20
제 11 장 찌놀림에 대한 이해 제 11 장 찌놀림에 대한 이해 제 1 절 찌맞춤과 찌놀림 여기에서 찌놀림이란 찌 올림과 찌 내림을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앞장에서 찌맞춤의 방법은 표준 찌맞춤을 기본으로 하여 무거운 찌맞춤과 가벼운 찌맞춤 등 3가지 방법이 있다고 했다. 그런데 이 찌맞춤에 따른 찌놀림에 대해서.. 붕어 대물낚시 책 원고(원본) 2020.02.19
제 12 장 어신파악과 챔질 제 12 장 어신파악과 챔질 제 1 절 대물의 섭이습성과 어신 o 어신의 원리는 무엇인가? 민물이든 바다든 찌를 사용한 낚시에서 첫 번째로 오는 즐거움은 찌놀림이다. 수면에 있는 찌가 시원하게 올라오거나 시원하게 빨려드는 순간에 가슴으로 느끼는 맛은 그 어느 것과도 바꿀 수가 없다. .. 붕어 대물낚시 책 원고(원본) 2020.02.19
제 13 장 제압과 유도 제 13 장 제압과 유도 제 1 절 제 압 요 령 대물낚시에서 찌가 천천히 솟아오르는 입질을 보고 환희를 느끼는 것이 찌 맛이라면, 챔질을 하여 대물붕어를 걸었을 때 손에 부딪혀오는 육중한 감각과 철퍼덕! 하는 초기 힘겨루기부터는 가슴이 울렁이는 손맛을 보게 된다. 그러나 모처럼 입질.. 붕어 대물낚시 책 원고(원본) 2020.02.19
제 14 장 대물낚시 미끼운용 제 14 장 대물낚시 미끼운용 제 1 절 대물낚시 미끼 개요 우리는 대물낚시를 함에 있어서 물속의 붕어를 전혀 보지 못한 상태에서 미끼의 운용만으로 대물붕어를 선별하여 만난다. 미끼는 우리와 붕어와의 만남에 매개체 역할을 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사용하는 미끼가 매개역할을.. 붕어 대물낚시 책 원고(원본) 2020.02.19
제 15 장 생미끼 대물낚시 제 14 장 생미끼 대물낚시 제 1 절 새우대물낚시 이제는 전국 각지에 새우대물낚시를 즐겨하는 꾼이 많고, 그 기량도 가히 전문가 수준을 넘나들고 있어 새삼 월척급 이상 대물낚시를 위한 새우미끼 운용법 정도는 새로울 것이 없을 듯하다. 더구나 이 새우를 미끼로 이용한 대물낚시는 이.. 붕어 대물낚시 책 원고(원본) 2020.02.19
제 16 장 고형미끼 대물낚시 제16장 고형미끼대물낚시 제 1 절 메주콩미끼대물낚시 붕어대물낚시에는 각 지방에 따라 한두 가지 특징 있는 미끼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이 대구 경북지방의 메주콩미끼와 경기 북부지방의 감자미끼이다. 그러나 감자미끼는 전통적인 미끼였음에도 점점 사용이 줄.. 붕어 대물낚시 책 원고(원본) 2020.02.18
제 17 장 떡밥대물낚시 제 17 장 떡밥대물낚시 제 1 절 떡밥으로 하는 대물낚시 우리나라 외래어종은 주로 1970년대 초반에 ‘기후와 풍토에 적응하는 담수어종’을 들여와서 소량으로 양식 및 방류한 것이 오늘날 전국으로 확산되어 생태계를 교란하는 유해어종이 되었다. 당시 그냥 두어도 우리나라 수계에는 .. 붕어 대물낚시 책 원고(원본) 2020.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