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산의 한 뼘 다가가는 붕어낚시(1) - 낚싯대 준비 요령은? 평산의 붕어낚시 Q & A-한 뼘 다가가는 붕어낚시(1) 어떤 낚싯대를 준비할까요? 송귀섭 FTV 제작위원, 釣樂無極 프로그램 진행 (주)아피스 사외이사, 체리피시 자문위원 <붕어낚시 첫걸음> <붕어 대물낚시> <붕어학개론> 저자 평산의 붕어낚시 Q&A(質疑應答) ‘한 뼘 다가가는 붕어.. 붕어낚시 Q & A 2017.12.16
FTV *釣樂無極* 촬영 출조 계절은 1/4씩의 나이를 품고 찾아옵니다. 그리고 나이 한 살 중 25%를 가지고 스쳐 지나갑니다. 이제는 완연한 가을. 금년 나이의 3/4토막을 맞이하여 자연 속으로 갑니다. 서너 번 출조하고 나면 또 이 계절도 지나가겠지요. 참으로 멋진 계절을 맞이하여 FTV *釣樂無極* 촬영차 야외로 출동.. 평산의 방송활동 2017.09.07
평산의 釣行隨想(19) 낚시를 통한 自然敬畏心과 審美學 에세이 / 평산의 釣行隨想(19) 찌불 앞에서 나눈 이야기(2) 낚시를 통한 自然敬畏心과 審美學 송귀섭 FTV 제작위원, 釣樂無極 프로그램 진행 (주)아피스 사외이사, 체리피시 자문위원 <붕어낚시 첫걸음> <붕어 대물낚시> <붕어학개론> 저자 밤하늘에 별이 총총하고 은하수가 서편.. 釣行隨想(Essay) 2017.08.30
찌들림 현상에 대한 질문과 답 우리가 낚시를 하면서 경험하는 이유없는 찌오름. 입질도 아니고 특별한 움직임도 감지되지 않는데 아무런 이유없이 모든 찌가 솟아오르거나 혹은 한두 개의 찌가 스스로 솟아오르는 현상에 대해 당황스러운 경험을 하게된다. 이것은 <찌들림 현상>이다. 이 <찌들림 현상>이라는.. 낚시이론 & 저술 2017.08.13
70년대의 냉동새우와 우동 미끼 사람들은 대물낚시 기법이 근래에 와서야 구사된 것으로 오해를 한다. 특히 일부 50~60대 사람이 스스로가 그 지역 대물낚시의 선두주자라고 얘기하는 것을 보면 참 한심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을 수 없다. 나이가 50대든, 60대든, 70대든 아니면 80대든 간에 대물낚시를 구사한 것이 자기가 .. 낚시관련 자료 2017.06.27
올바른 낚시용어(70년대와 80년대 그리고 오늘날 비교) 우리나라 낚시관련 용어는 지방마다 따로 표현해온 용어와 옛말에 따른 용어를 혼합해서 사용해 오다가 일제강점기를 지나면서 일본식 용어가 많이 사용되게 되었고, 해방이후로는 미국의 영향으로 영어권의 용어가 더해져서 우리 말과 일본 말 그리고 영어로 된 말이 혼용(混用)되고 .. 낚시이론 & 저술 2017.05.07
이 시절에도 꾼의 가방에는 컵라면이 있었다. 라면이 가장 맛있는 곳은 낚시터. 적당히 익은 김치반찬에 소주 한 잔 곁들이면 금상첨화다. 이런 라면이 1970년대 초에도 낚시꾼의 가방에 담겨 있었다. <사진은 1972년 7월호 낚시춘추에 실린 컵라면 광고다.> 낚시관련 자료 2017.04.27
화성호 둠벙낚시 일산에 있는 힐랜더루프탑텐트 회사에서 4월 17일에 내 레저전용차 지붕에 설치되어 있는 루프탑텐트를 교체하자고 연락이 왔다. 그러려면 집(광주)에서 350km를 올라가야만 한다. 그리고 화성에 새로 신축개업하는 입질대박 회사에서 개업식 초청이 있는 날이 4월 18일. 그래서 기왕에 일.. 낚시旅行 & 行事 2017.04.25
1970년대에는 월척을 얼마나 낚았을까? 1970년대의 월척은 그야말로 붕어낚시인의 꿈이었었다. 그것을 알기 때문에 필자는 2002년 7월 FTV의 '붕어낚시 월척특급' 프로그램을 시작하면서 첫 편에서 '월척의 꿈'이라는 독백을 하면서 시작했었다. 지금이야 월척은 너무 흔하고 4짜붕어도 그 당시 월척붕어 보다 흔하게 생각하는 시.. 낚시관련 자료 2017.04.24